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in app purchase
- BOUNDED CONTEXT
- ui thread
- js
- 타입스크립트
- react natvie
- 이펙티브 타입스크립트
- 정처기 준비물
- rn
- rniap
- Expo
- nextJS
- TS
- 정처기 자격
- 코드 푸시
- 비동기
- HTML
- typeScript
- collapsibletabview
- React Native
- 빌딩 블록
- 정보처리기사
- DDD
- sharedvalue
- 애그리게이트
- Aggregate
- 불변식
- 속도개선
- expo updates
- IAP
Archives
- Today
- Total
nika-blog
디버깅(Debgging)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디버깅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해요.

디버깅(Debugging)은 'defining the problem'으로
현재 상태와 원하는 상태의 갭을 줄이면서 도모하는 것이에요.
오늘은 VSCode(Visual Studio Code)로 디버깅 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1. 디버깅 시작
먼저 상단 메뉴 > Run > Start Debugging 을 통해 디버깅을 시작합니다.
node.js 을 선택하면 됩니다.
2. breakpoint 설정
다음으로 미심쩍은 부분이나 확인하고 싶은 부분에 breakPoint 를 설정하세요.
빨간 점이 생기도록 클릭하시면 됩니다.
왼쪽의 메뉴에서 각 변수의 값을 확인하면서 디버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Edit Breakpoint
한가지 팁을 드리면 breakpoint에 오른쪽 클릭을 해서 Edit Breakpoint 를 이용하면 'i ===2'와 같이 특정 상황에서 바로 디버깅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보통 상단 메뉴를 사용하여 디버깅을 손쉽게 진행합니다.
오늘 글은 여기까지 입니다.
모두 개발 열심히 하세요 ㅎㅎ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린코드, code Style Guide (0) | 2022.02.27 |
---|---|
Git: PR + 이슈 작성하기(Pull Request) (0) | 2022.02.24 |
Git 컨벤션 (0) | 2022.02.24 |
번들링과 빌드 시스템 (0) | 2022.02.20 |
WebStorm 주석 색 변경 (0) | 2021.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