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sharedvalue
- 속도개선
- 타입스크립트
- Aggregate
- BOUNDED CONTEXT
- 빌딩 블록
- 비동기
- rniap
- js
- collapsibletabview
- DDD
- HTML
- 코드 푸시
- typeScript
- ui thread
- React Native
- 정처기 자격
- expo updates
- Expo
- 정처기 준비물
- TS
- rn
- 불변식
- IAP
- react natvie
- nextJS
- in app purchase
- 정보처리기사
- 이펙티브 타입스크립트
- 애그리게이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React lifecycle (1)
nika-blog
React lifecycle, useEffect, react mount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액트 라이프 사이클에 대해서 공부하고,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클래스형 프로그래밍에서 각각 어떻게 사용하는지 익혀보겠습니다. 리액트 라이프사이클 리액트는 컴포넌트 기반의 View를 중심으로 한 라이브러리이다. 그러다보니 각각의 컴포넌트에는 라이프사이클 즉, 컴포넌트의 수명 주기가 존재한다. 컴포넌트의 수명은 보통 페이지에서 렌더링되기 전인 준비 과정에서 시작하여 페이지에서 사라질 때 끝이난다. 라이프사이클의 분류 생성될 때 = 마운트 업데이트할 때 = 업데이트 1. props 가 바뀔 때 2. state 가 바뀔 때 3. 부모 컴포넌트가 리랜더링 될 때 4. this.forceUpdate로 강제로 랜더링을 트리거 할 때 제거할 때 = 언마운트 함수형 라이프 사이클 구현 useEffect ..
FE/React
2022. 2. 27. 12:51